중앙 봉쇄형 압박에 대처하는 쿤데의 질주

모나코는 지속적으로 중앙을 틀어막으면서 볼이 측면으로 빠지길 원한다. 이때 쿤데가 우측 하프 스페이스 쪽 레인을 타고 전진한다.


볼을 받고 높게까지 전진하며, 우측면에 있는 파우에게 볼을 전달했다. 지난 시즌에도 꽤나 선보였던 모습.
쿤데가 전진한 하프 스페이스 쪽의 레인과 측면은 엄연히 다르다. 후자는 터치라인을 끼고 있어서 상대는 이를 이용해 압박할 수 있으나 전자는 좌우 양방향이 열려 있기에 상대가 압박하기 더 껄끄럽다.
중앙 봉쇄형 압박에 대처하는 카사도의 전진



모나코는 지속적으로 베르날을 막는다. 이번에는 쿤데 쪽도 경계하고 있으며 때문에 카사도를 통해 라인을 건너 뛴다. 그러나 소유권을 잃는다.
중앙 봉쇄형 압박에 당한 바르사







모나코는 지속적으로 베르날을 노렸다. 이번에도 이니고가 베르날을 향하는 패스를 하자 곧바로 압박이 들어왔고 결국 커트 당하며 실점한다. 이때 베르날은 자신의 좌우를 다 보는 게 아니라 왼쪽만을 보는 것으로 보이는데 헤드 업을 한채로 지속적으로 전후좌우를 살피는 건 바르사 배꼽의 기본이다.
물론 베르날은 부시가 아닌데 자꾸 부시만이 잘할 수 있을 상황이 주어진다. 이럴 때는 다른 선택지를 쓰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는 걸 깨달아야 한다.
배꼽 압박법

바르사의 전체적인 라인이 지속적으로 높든 낮든 모나코의 역삼각형을 활용한 베르날 공략은 멈추지 않는다.

결국 센터백으로 볼이 향하고

골키퍼까지 향한다.

결국 해결사는 또 테어 슈테겐이다.

페란은 이번에는 잘 내려와서 볼을 받았다.
그리고 모나코는 쿤데에게 하프 스페이스 쪽 레인을 공략당한 뒤 빌드 업 시 이 레인에 계속 선수를 배치하고 있어서 쿤데 시즌2는 보기가 힘들다. 그렇다고 측면으로 볼을 보낸다면 제한되는 각도를 이용해 상대가 압박하기 더 쉬워지므로 선호되는 방법은 아니다.
죽은 구역의 빌드 업 활용
일반적으로 자기 편 박스의 좌우는 죽은 구역이라고 불린다. 좌우 측면이 열린 게 아니며 동료들과의 거리도 멀어지기 때문. 그러나 이쪽으로 상대를 유인한 뒤 볼을 빼내면 앞에는 공간이 있기에 오히려 찬스가 생긴다. 만약 상대가 압박하지 않아도 그대로 다른 쪽으로 전개하면 되기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때문에 바르사를 비롯한 스페인 팀들은 이 구역을 통해 빌드 업을 하기도 한다.

바르사는 빌드업에 애를 먹고 있고, 결국 이쪽으로 상대를 유인한다. 상대가 중앙 봉쇄형을 버리고 측면으로 빠졌고 이때 반대편으로 크게 볼을 돌리면 되나 바르사는 제대로 전개하지 못 한다.

81분경 모나코도 죽은 구역에서 볼을 돌린다.






85분경 모나코는 다시 죽은 구역에서부터 빌드 업한다. 바르사는 죽은 구역에 접근하는 게 아니라 그 앞에 선수를 밀집시키지만, 모나코는 곧바로 라인을 건너뛰고 곧바로 공격수에게 볼을 전달한다. 다행히 바르사의 부정적 트랜지션 자체는 계속 괜찮은 수준이지만 반대편으로의 전환에의 반응은 좋지 못 했고 결국 실점까지 한다.
이 죽은 구역에서의 빌드 업은 바르사의 장기였는데 오히려 지난 시즌부터 바르사가 다른 팀에게 당하는 패턴이 보인다. 특히 이번에 플릭이 모나코에게 당한 이유는 전방 압박과 최종 수비가 너무 먼 거리에 있었기 때문인데 정상적인 0대0이라면 이 정도로 무리한 압박을 가하지는 않을테니 조금 더 지켜봐야할 것 같다.
기울어짐으로 공략하기

경가장을 세로로 이등분하면 우측면에 바르사는 7-8명이 있다. 때문에 모나코의 442도 우측으로 기울어져있다.

베르날은 이를 보고 왼쪽에 오픈되어 있는 발데에게로 전환한다.

그러나 역시 발데는 발데.
쿤데 & 카사도의 하프 스페이스 공략

모나코의 핵심 압박은 중앙 봉쇄고 특히 베르날을 막는 것이다.

이에 바르사는 쿤데의 전진으로 이를 커버했다. 모나코는 이번에는 쿤데를 바로 바로 견제한다.

쿤데의 위력은 단순히 수비에서만 나오는 게 아니다. 본인이 직접 전진할 수 있고, 이렇게 후방에서 앞으로 라인을 깨는 전진패스까지 할 수 있는 멀티적 능력에서 나온다.



빌드 업 할 때도 카사도의 전진을 활용하기도 했지만 공격할 때 마찬가지다. 플릭은 카사도를 베르날보다 더 윗선의 미드필더로 보고 있는 듯하다.
4vs5

모나코는 한쪽 면을 버리다시피 수비할 정도로 라인의 폭을 좁혀서 수비했다. 이에 대항하는 바르사는 좌우 너비를 넓게 한다.


그러면서 중앙에는 3명의 선수를 둔다. 이때 모나코의 사이드백은 바르사의 우측면 선수 때문에 빠져있고 마르틴은 마크조차 없이 볼을 받는다. 즉 4 vs 5를 만들어내며 모나코의 수비를 무질서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바르사의 공격도 이런 무질서를 공략할 정도로 날카롭지는 않다.
센터백이 참여하는 전방 압박 구조

전반적으로 바르사는 5인 압박이 많이 나오며 이들이 1차 압박선이다. 이들 1차 압박선을 상대가 건너 뛰면 배후에 있는 미드필더들이 달려든다.

그러나 바르사는 앞선 크리스텐센처럼 센터백도 압박에 참여한다. 1차 압박선이 실패하거나 1차 압박선을 건너 뛰면 이때는 수비에서 +1을 버리더라도 센터백도 나선다. 이번에는 이니고가 전진했다.
바르사의 압박을 피하는 방법

이번에는 바르사의 1차 압박선은 6인이며 4백이 배후를 지키고 있다.

발데의 마크 맨이 내려오니 발데도 따라간다. 경기장을 세로로 이등분했을 때 필드 플레이어 전원 ~ 9명이 좌측면에 있다.

모나코의 압박 타개책은 반대편 전환이다. 바르사는 압박 시 측면으로 상대를 밀어 넣으려고 하는데 이때 반대편으로 전환한다면 바르사의 전방 압박을 이겨낼 수 있다.
공략 당한 4141
바르사의 수비 포메이션은 4141이다. 433을 수비적으로 변형한 포메이션으로 전문 앵커가 있어서 라인 사이를 보호하기는 유리하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상대가 라인 사이에 있으면서 앵커의 좌우측으로 조금 떨어져 있다면 앵커는 수비하러 이동해야한다.




이 장면에서 베르날이 이동하는 도중에 패스가 들어갔고 실점했다. 앞으로도 상대는 4141의 구조적 약점을 노리고 앵커의 좌우를 노릴 것이다. 결국 수비 시에 베르날의 이동이 빨라야 겠고, 베르날이 움직인 공간으로 카사도가 내려오면서 4231을 만들어야 한다. 아님 애초에 4231을 통해 라인 사이 수비를 좀 더 공고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정 안 된다면 1의 자리에 좀 더 신체적으로 뛰어난 선수를 배치하는 것도 복안이 될 수 있을 것.
마무리
플릭의 무질서화 플랜
파예가 떠나면서 센터백으로 무질서화를 만드는 건 뒤로 미뤄야할 것으로 보임, 대신 발데의 전진과 쿤데의 하프 스페이스 레인 공략 등으로 무질서화를 이끌 수도 있어 보임.
베르날과 카사도의 공격 버전
카사도는 전진이나 플레이메이킹이 눈에 띄었고 베르날은 이전보다 높은 위치에서 세컨 볼 얻거나 역습 길목 차단했고 공격적 배치에서도 빠른 선수를 상대로 적절하게 맥을 끊는 스킬도 있었음.
4141의 구조적 취약점 노출
이전 경기에서도 그랬지만 앵커의 좌우 공략을 어떻게 막느냐가 앞으로의 포인트
전방 압박 회피법
자기 진영에서의 빌드 업에서 다양한 패턴을 보여주기도 했지만 또 취약한 점도 보였음. 이런 면에서 배꼽의 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확실히 알 수 있던 경기.
'바르사 > 24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그1 바르사 vs 발렌시아 (2) | 2024.09.03 |
---|---|
프리시즌 3 바르사 vs 밀란 (0) | 2024.09.02 |
프리시즌 4 바르사 vs 모나코 전반 (0) | 2024.08.30 |
프리시즌 2 바르사 vs 레알 마드리드 후반 (0) | 2024.08.30 |
프리시즌 2 바르사 vs 레알 마드리드 (0) | 2024.08.26 |